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아무리 교통질서를 잘 지키고 안전운전을 하더라도 경미한 접촉사고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이렇게 교통사가 나타나는 경우, 큰 사고가 아닌 경미한 접촉사고라면 경찰에 접수하기보다는 전화받고 출동한 보험사직원들에 의해 과실비율이 정해지고 보상 및 차량정비비용 등에 관한 내용을 조정하는 것으로 사고처리를 하는 경우가 주로이다. 그런데 이러한 약한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 당장 몸에 이상이 없으며 특별히 쓰린 곳이 없다는 이유로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넘어가는 때가 심각한데, 이는 자칫 후회되는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고 한다.
대구의 어느 한의원 원장은 '교통사고가 무서운 것은 대형사고 시 당하는 큰 인명피해도 물론이지만, 경미한 추돌사고와 같이 외관으로 볼 수 있는 외상없이 시간차를 두고 천천히 노출되게 되는 사고후유증 때문이다. 바로 몸이 통증이 있는 곳이 없다 하더라도 병원 또는 한의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통해 육체적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결코 과한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는 일반적인 신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수단인 X-Ray나 CT촬영, 엠알아이(MRI)검사 등의 방법의 경우 경미한 사고로 특별히 드러난 외상이 없는 환자에게는 차량사고 후유증의 징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따라서 경미한 접촉사고로 부상은 없지만 바로 이후 발생하는 사고 후유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일정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고 이야기 했다.
이어 '이러한 후유증의 발생 원인으로 어혈을 지목한다. 사고 당시 충격으로 생성한 어혈이 시간을 두고 체내의 혈액순환 등을 수원 교통사고 추나요법 방해하는 과정에서 몸 이곳저곳에 통증 및 이상 증상을 유발한다는 것으로 이를 처치하기 위해 침, 부항, 추나와 같은 다체로운 한방조취를 환자 개별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고 한다.
한편 '운전사고 환자에 대한 한방처치에 대해 승용차보험 적용이 됨에 따라 환자 본인 부담 없이 사고 후유증 등에 관한 처치를 받을 수 있으며, 접수할 때 사고접수번호 또는 보험담당자 연락처 제시를 통한 어렵지 않은 확인으로 반영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